윈도우8 에서 VSCode 사용하기
이미 플러그인 VSCode 를 사용하기 위한 플러그인이 있다.
https://github.com/dotBunny/VSCode
이것을 다운 받고 간단히 유니티의 Asset 창으로 밀어 넣자.
그리고 pdf 에 나온데로 Preference 에서 설정을 해주면 된다.
잘 적용이 되었다면 불필요한 파일들(특히 *.meta) 는 VSCode 에서 보이지 않는다.
하지만 인텔리 센스가 깨지는 문제가 발생 할것이다.
이유는 바로 .net framework 의 버전을 못찾아서 이다. 기본적으로 UnityEngine.dll 의 .Net 버전은 3.5 이다. 하지만 Assembly-CSharp.csproj 를 분석해 보면
라고 당당하게 쓰여져 있다. 그리고 이것을 v3.5 로 고치면 레퍼런스가 완성 되지만 유니티프로젝트를 새로 고침 하거나 하면 다시 원복 된다.
플러그인 코드를 고칠 필요가 있다.
앞서 다운로드한 플러그인 폴더 안의 VSCode.cs 를 찾아서 열자.
위의 478번 줄 의 if 문에 의하여 자꾸 바뀌는 것 인데, 이것을 모두 주석 처리 했다.
그러니 원하는대로 v3.5 가 유지 되었다.
덧붙여서 본인은 VS Debug 기능을 하용하지 않는다. 때문에
UnityEngine.Debug.Log("[VSCode] Updating Solution & Project Files");
코드들을 모두 찾아서 주석 처리 했다.
위의 수정사항들을 적용한 프로젝트를 첨부파일에 업로드 하였음.
'unity3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니티에서 Affine Fix 변환 ( Perspective Correction Transform) (0) | 2015.10.03 |
---|---|
윈도우8 에서 VSCode 사용하기 (3) | 2015.10.02 |
서비스 호출시 HttpWebRequest, HttpWebResponse 에 대한 인증 오류 해결 방법 (0) | 2015.07.23 |
CommandBuffer 를 이용한 Multipass Shader 기법 (0) | 2015.04.23 |
올바른 Bitmap To Texture2D (4) | 2014.09.10 |
로드된 텍스쳐 메모리 관리 (0) | 2014.09.10 |
unity3d
2015.10.02 15:40